[이코테] 실전문제: 1이 될 때까지
1이 될 때까지
문제
어떠한 수 N이 1이 될 때 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해 수행하려고 한다.
단, 두번째 연산은 N이 K로 나누어 떨어질 때만 선택할 수 있다.
- N에서 1을 뺀다.
- N을 K로 나눈다.
입력조건
-
첫째 줄에 N(2<= N <= 100,000)과 K(2 <= K <= 100,000)가 공백으로 구분되며 각각 자연수로 주어진다.
이때, 입력으로 주어지는 N은 항상 K보다 크거나 같다.
출력조건
- 첫째 줄에 N이 1이 될 때까지 1번 혹은 2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입력예시
25 5
출력예시
2
나의 코드
첫 번째 시도.
n,k=map(int,input().split()) count=0 while True: #n이 k의 배수가 아니라면 배수가 될 때까지 -1을 빼준다. #연산을 시행하기 전 n=1인지 아닌지 검사를 함. if n%k!=0: if n==1: break else: n-=1 count+=1 #n이 k의 배수이면 n을 k로 나누고 이 값을 다시 n에 할당시켜준다. #연산을 시행하기 전 n=1인지 아닌지 검사를 함. else: if n==1: break else: n=n//k count+=1 print(count)
🌝 Thinking
[그리디] (이코테) 큰수의 법칙 문제
에서 반복구문을 사용할 때
이를 빠져 나오는 조건을 꼼꼼히 하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별히 while 구문을 빠져나오는 조건을 신경 써 주었다.
답안 예시1
n,k=map(int,input().split())
result=0
while n>k:
while n%k!=0:
n-=1
result+=1
n //= k
result+=1
while n>1:
n-=1
result+=1
print(result)
🌝 Thinking
내가 생각했던 것과 큰 틀은 일치하는 듯 함.
나의 코드는 하나의 루프문에서 n이 k로 나누어 질 때 안나누어질때의 경우를 나누어서 한번에 연산을 함.
답안코드는 n이 K보다 클때와 작을때를 나누어서 루프문을 2개로 나누어 연산을 함. n=1일때를 if를 이용하여
각 구문마다 break를 걸어줄 필요가 없음.
🌞 최적해 보장
k가 2이상이기만하면, k로 나누는 것이 1을 빼는 것보다 숫자의 크기의 감소가 크다.
연산의 시행 횟수를 줄이기위해선 나누기 연산을 최대한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
즉 n이 k의 배수가 되었다고하면 무조건 나누어주어야 한다. (최적 해를 보장함)
답안예시2
그런데 여기서 N의 크기가 100억 이상이라면 ?
n,k=map(int,input().split()) result=0 while True: target=(n//k)*k #검산 공식이라고 생각하면 빠르게 이해가 됌. n//k(몫)*k(나누는 수) = k의 배수 result += (n-target) #그 격차만큼을 위에선 한 순회당 -1씩 빼주었지만, 연산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바로 빼버림. n=target if n<k: break n //=k result+=1 result += (n-1) print(result)
🌝 Thinking
while 구문을 순회할때 n이 k의 배수에 도달하기위해 우리는 -1씩 빼주는 원리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짰다. (그리디 알고리즘이니깐 아주 탐욕적으로 원하는 바를 그대로 구현 하는데 집중하였기 때문인가 ?)
하지만 -1빼면 n과 n이 k의 배수가 되는 지점까지의 격차가 매우크다면 whlie 구문이 동작이 많아 질 것이다.
그래서 그냥 그격차만큼을 빼고 result에 그 격차를 그대로 더 해줌. 결과값에 영향을 주지 않음.
💡 깨달은 점.
- 알고리즘을 짤 때 과연 내가 짠 알고리즘이 최적해를 보장할 수 있는가 ? 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짜기위해선 당연한 원리에 대해서는 비약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 나동빈 저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