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개미 전사

문제

개미전사는 부족한 식량을 충당하고자 메뚜기 마을의 식량창고를 몰래 공격하려고 한다.

메뚜기 마을에는 여러 개의 식량창고가 있는데 식량창고는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다.

각 식량창고에는 정해진 수의 식량을 저장하고 있으며 개미 전사는 식량창고를 선택적으로 약탈하여 식량을 빼앗을 예정이다.

이때 메뚜기 정찰병들은 일직선상에 존재하는 식량창고 중에서 서로 인접한 식량창고가 공격받으면 바로 알아챌 수 있다.

따라서 개미 전사가 정찰병에게 들키지 않고 식량창고를 약탈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한 칸 이상 떨어진 식량창고를 약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식량창고 4개가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1, 3, 1, 5}

이때 개미 전사는 두 번째 식량창고와 네 번째 식량창고를 선택했을 때 최댓값인 총 8개의 식량을 빼앗을 수 있다.

개미 전사는 식량창고가 이렇게 일직선상일 때 최대한 많은 식량을 얻기를 원한다.

개미 전사를 위해 식량창고 N개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얻을 수 있는 식량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조건

  • 첫째 줄에 식량창고의 개수 N이 주어진다. (3<=N<=100)
  • 둘째 줄에 공백으로 구분되어 각 식량창고에 저장된 식량의 개수 K가 주어진다. (0<=K<=1,000)


출력조건

  • 첫째 줄에 개미 전사가 얻을 수 있는 식량의 최댓값을 출력하시오.


입력예시

4
1 3 1 5

출력예시

8


나의 코드

n = int(input())

store = list(map(int,input().split()))

food = [0]*101
#아무것도 털지 않을때 아무것도 없다.
food[0] = 0
#첫 번째에 저장고 처음(index=0)을 턴다.
food[1] = store[0]

#아래 그림 참고
for i in range(2,n+1):
    food[i] = max(food[i-2] + store[i-1],food[i-1])
 
print(food[n])

»input

4
1 3 1 5

»output

8

개미전사

🌝 Thinking

i 번째 까지의 최적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점화식으로 만들었다. (위의 그림 참고)

2번째 항에서 부터 점화식을 도입하기 위해 1번째 항과 0번째항을 선언해주었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Bottom up 방식을 이용하여 i번째항의 최적해를 구하였다.


답안 코드

# 정수 N을 입력 받기
n = int(input())
# 모든 식량 정보 입력 받기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앞서 계산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DP 테이블 초기화
d = [0] * 100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진행 (보텀업)
d[0] = array[0]
d[1] = max(array[0], array[1])
for i in range(2, n):
    d[i] = max(d[i - 1], d[i - 2] + array[i])
    
# 계산된 결과 출력
print(d[n - 1])

🌝 Thinking

답안 코드 는 편의를 위하여 창고의 index와 DP테이블의 index를 일치시켜서 조금 더 코드가 깔끔하고 이해하기 쉬워 보인다.


💡 깨달은 점.

  1. 개인적으로 [이코테] 1로 만들기가 더 어려웠던 것 같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Bottom Up 식의 접근은 사람의 사고와

    확실히 많이 닮아 있는 듯 하다. (아직 반례 문제는 못봄…)


출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 나동빈 저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