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2164번: 카드2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남게 되는 카드의 번호를 출력한다.


첫번째 시도 . 자료구조를 공부하기 이전(2022년 02월 4일)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num=list(range(1,N+1))
 
 while 1:
     num.pop(0)
     new=[]
     for i in range(1,len(num)):
         new.append(num[i])
     new.append(num[0])
     num=new
        if len(new)==1:
            break
    print(new[0])

»output

Time error

🌝Thinking

자료 구조 큐를 모르는 상태로 풀려고 하니 코드가 상당히 어설프고 난잡하다.




두번째 시도 . 자료구조 후 재도전(2022년 02월 15일)

 #collections 모듈을 사용 할줄 알게됌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int(input())
 
 card = deque([ x for x in range(1,n+1)])
 
 while len(card)!=1:
     card.popleft()
     card.append(card.popleft())
 
 print(card[0])

»input

 6

»output

 4

🌝 Thinking

굳이 입력값 또한 sys모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시간 초과없이 통과가 가능했다.

조금 더 강해진 나 자신 칭찬해 🦾



💡 깨달은 점.

  1. 알고리즘 공부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시도당시 쉬운문제임에도 불과하고 머리가 꼬이고 어지러웠는데,,, 나 자신 약했군

댓글남기기